2025년부터 시행되는 '제4차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 기본계획(2025~2029)'은 그동안 경력단절 여성 중심이었던 정책 대상 범위를 청년, 중장년, 고령 여성 등으로 확대합니다.
🔍 정책 주요 목표
- 생애주기별 맞춤형 여성 취·창업 지원
- 일과 생활의 균형 잡힌 근로 환경 조성
- 여성의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위한 기반 마련
👩🎓 청년여성 역량 강화 및 진로 지원
- 예비사회초년생 대상 진로설계 및 지역 맞춤형 경력형성 프로그램 운영
- IT, 로봇 등 신산업 분야 융합형 교육 및 직업 훈련 확대
-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에 따른 청년·여성 인재 활용 실태조사 시행
👩🦳 중·고령 여성 위한 실질적 지원 확대
- 새일센터 온·오프라인 혼합 직업교육훈련 신설
- 훈련참여촉진수당(월 10만 원 × 4회) 신규 도입
- 새일여성인턴 정규직 전환 시 고용유지장려금 상향 (320만 → 400만 원)
- 사회서비스·건설업 등 여성 고용취약분야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 확대
📊 여성의 생애주기별 경력 설계 지원
- 산업구조 변화 대응 이·전직 훈련 및 경력설계 상담 제공
- 신기술 분야(IT, 바이오 등) 직업훈련 확대
- 농촌 탐색교육 통한 지역 일자리 발굴
- 퇴직연금 가입 확대 등 노후소득 보장
⚖ 일·생활 균형 문화 확산 및 경력단절 예방
- 새일센터 경력단절 예방 서비스 전국 159곳으로 확대
- 건강관리 취약 근로자 위한 건강상담 및 사후관리 연계
- 양성평등 조직문화 민간기업까지 확대 추진
- 공동직장어린이집, 시간제 보육서비스 전국 확대
- 대체인력 및 업무분담 지원금 확대
🌱 여성 창업 및 경제활동 기반 조성
- 새일센터 창업전담 인력 배치 및 단계별 창업지원
- 창업경진대회 참가자격 완화, 특허 기술 사업화 지원 확대
- e새일시스템-고용24 정보 연계로 취업 매칭 효율화
- 매년 ‘경력단절 예방주간’ 운영 및 일·생활 균형 지수 산출
📞 정책 관련 문의처
-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: 02-2100-6142
- 성별영향평가과: 02-2100-6178
- 여성인력개발과: 02-2100-6219
-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: 044-202-7473
정부는 이번 정책 전환을 통해 모든 여성이 전 생애주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. 여성의 일과 삶의 균형이 곧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.